나를 위해9 [운동정보] 고유수용감각을 깨우는 운동법 감각은 일반감각과 특수감각으로 구분되며, 일반감각은 31쌍의 척수신경으로 입력됩니다. 일반감각에는 온도, 통증, 내장감각, 고유감각 등이 있습니다. 피부의 촉각, 압력, 온도에 관한 신경자극과 고유감각은 척수를 통해 소뇌와 시상을 전달되며 시상에서 대뇌 감각피질로 전달됩니다. 그 중 고유수용감각은 근육 긴장도와 길이 변화에 대한 정보로 자세와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감각입니다. 모든 근육과 관절 내부에는 긴장과 수축 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근방추(muscle spindles)와 골지(golgi tendons)가 존재합니다. 이들이 측정한 정보는 spinocerebellar tract를 따라 소뇌로 전달된다. 고유수용성 감각수용기의 기능 1) 반사적 반응 관절에 위치한 관절수용기를 적절히 자극하.. 2023. 4. 23. [재활운동] 반월판 연골 파열 재활운동 반월판 연골은 무릎에 위치해있으며,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연골입니다. 각 무릎의 내측과 외측으로 2개가 있습니다. 반월판 연골이 손상되면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는데 문제가 생기고 통증과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평소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많이 유지하거나, 발을 땅에 대고 무릎을 구부린 자세(예를 들어 스쿼트 자세)에서 갑작스럽게 대퇴골이 안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이 발생한 직후엔 운동보다는 휴식과 더불어 병원에서 적당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느정도 치료가 되었다면, 재활운동을 해주어야 정상 기능으로 회복이 빠릅니다. 반월판 연골 파열 재활운동 (출처 @theptinitiative) 1. Standing Knee Extension 2. Bear .. 2023. 4. 4. [운동정보] 대퇴사두근 강화 리버스 노르딕 레그컬 노르딕 레그컬 (Nordic Leg Curls) 노르딕 레그컬은 운동선수들이 주로 부상을 방지하며 햄스트링을 단련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리버스 노르딕 레그컬 (Reverse Nordic Leg Curls) 말 그래도 리버스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햄스트링의 반대편에 있는 대퇴사두근을 강화하는 운동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노르딕 레그 익스텐션, Z 플랭크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바벨, 덤벨 등의 중량 없이 가능한 고강도 맨몸 하체 운동입니다. 근육이 늘어난 상태에서 강화시키는 운동이기에 부상의 위험이 낮습니다. 허벅지 전면에 있는 대퇴사두근을 주로 타겟하는 동시에 몸을 일직선으로 유지하기 위한 복근(복직근, 복사근)을 단련하고 뒤로 넘어가는 동작에서 정강이 앞 근육(전경골근)을 스트레칭하는 보조적인.. 2023. 3. 21. [재활운동] 버섯목증후군 개선운동 버섯목 증후군이란? 버섯목증후군이란 목덜미 아래 경추(목뼈) 7번 뼈 일부가 돌출되어 칼슘과 지방이 쌓이면서 버섯이나 혹처럼 볼록하게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잘못된 자세로 인해 생겨난 거북목, 일자목이 더 심해질 경우 생기게 됩니다. 서구권에서는 중년 여성에게서 많이 발견된다고 하여 Dowager's Hump 라고 부르기도 하며, 목 뒤가 물소처럼 튀어나와있다고 하여 버팔로 증후군이라고도 부릅니다. 의학적인 용어로는 척추후만증(kyphosis)입니다. 버섯목 증후군의 원인 버섯목 증후군을 만들어내는 가장 큰 원인은 나쁜 자세입니다. - 컴퓨터, 스마트폰, TV 등을 볼때 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자세. - 엉덩이는 의자 앞쪽에 대고 앉은 후 어깨를 뒤로 기대어 눕듯이 앉는 자세 - 웅크리고 앉아있.. 2023. 3. 17. [재활운동] 드퀘르벵 증후군 재활운동 드퀘르벵 증후군(De quervain's syndrome) = 손목건초염 드퀘르벵 증후군(De quervain's syndrome)은 손목에서 가장 흔한 힘줄염이다. 손목건초염은 손목의 내측과 중앙, 외측에 있는 여러 개의 힘줄을 감싸고 있는 막에 생긴 염증을 말하는 것으로 ‘손목협착성 건막염’ 또는 ‘드퀘르벵 증후군(DeQuervain Syndrome)’ 이라고 한다. 손목건초염은 주로 손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손목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이어지는 2개의 힘줄(장무지외전건, 단무지신건)과 이 힘줄을 싸고 있는 막(건초) 사이에 마찰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염증성 질환을 뜻합니다. 엄지손가락을 뒤로 젖히고 펼 때 두 개의 건(장 무지 외전건, Abductor pollicis longus 및 단 무지 .. 2023. 3. 15. [재활운동] 후경골근 건병증 재활운동 후경골근 건은 안쪽 복숭아뼈 뒤쪽으로 돌아서 내려간다. 이는 족저굴곡(plantar flextion)과 내전(inversion)시키며 과도하게 외전(eversion) 되지 않도록 발목 안쪽과 발바닥 내측 아치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주요 구조물이다. 이런 후경골근건염의 원인은 급성외상보다는 과사용과 관련있다. 1. 과사용 - 과도한 걷기나 뛰기, 점프 , 과도한 거골하 관절의 회내(평발) 2. 급성 - 직접손상 : 열상 - 간접손상 : 족관절 외번 염좌, 족관절 골절 , 급성 견열골절 3. 염증 - 류마토이드 관절염, 혈처음성 관절병증에 이차적인 감염 후경골근건염의 증상은 아킬레스건에 통증이 집중되어 아킬레스건이 다쳤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후경골근의 생김새를 보면 발바닥까지 근육이 이어져있기 때문에 족.. 2023. 3. 13. [논문 스터디] 한국인 음식물 의존성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의 임상적 특성 분석 음식물 의존성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 : 특정 음식물 섭취 뒤 운동 후에 발생하는 음식물 알레르기의 일종으로 드문 질환 유럽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채소 중 토마토가 아나필락시스의 가장 흔한 원인 물질(음식)이라고 보고되었지만,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 밀이 가장 흔한 원인 식품이라는 연구결과가 우세하다. 그 외에도 해산물, 갑각류. 육류, 견과류 등 다양한 원인 식품이 보고되고있다. 어떤 기전으로 알러지 반응이 발생하는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가장 대표적인 가설은 운동에 의해 장점막의 투과성이 증가해, 운동 전에는 흡수 되지 않던 항원 성분이 운동후에 장점막으로 흡수되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아주 약한 강도의 운동만으로도 유발된 수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2023. 1. 16. [논문 스터디] 논문 List_ 23.01.16 updated 알러지 [논문 스터디] 한국인 음식물 의존성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의 임상적 특성 분석 https://live-healthy-lively.tistory.com/12 [논문 스터디] 한국인 음식물 의존성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의 임상적 특성 분석 음식물 의존성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 : 특정 음식물 섭취 뒤 운동 후에 발생하는 음식물 알레르기의 일종으로 드문 질환 유럽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채소 중 토마토가 아나필락시스의 live-healthy-lively.tistory.com 통풍 Education and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for gout (Abhishek Abhishek1 and Michael Doherty1) [논문 스터디] '통풍 (gout)' 치료에 있어 교.. 2022. 12. 23. [논문 스터디] '통풍 (gout)' 치료에 있어 교육이 중요한 이유 (통풍 발생 원인, 통풍 위험요소, 통풍 치료법 포함) 제목 : Education and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for gout 핵심 요약 통풍 치료를 위한 ULT(urate-lowering therapy, 요산 저하 치료) 실시에 있어 의료진, 환자, 지역사회 모두에게 적절한 교육이 필요함. 의료진이 정확한 진단법과 치료법을 알아야하며, 이를 환자에게 면대면이나 글로 쓰여진 설명으로 환자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함. 지역사회의 경우 통풍이 단순히 나쁜 생활습관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인 문제에서도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부정적인 편견을 가지지 않아야 함. ※ 통풍 치료에 있어 ULT-요산 저하가 피료한 환자의 경우 지속적인 약물 복용이 필요. 그러나 지속적인 치료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 기억하면 좋을 내용!.. 2022. 12. 23. 이전 1 다음